728x90 반응형 재테크10 [주식 용어] ROE, PER, PBR 의미와 예시 ROE(자기자본이익률) 당기순이익 / 자기자본 ROE(Return on Equity)는 주식 소유자의 순이익에 대한 자본의 비율을 나타낸다. ROE가 높을수록 수익성이 좋다고 볼 수 있으며, ROE를 보고 그 회사의 성장성을 예측해 볼 수 있다. ROE 예시 자본의 총액이 100억원인 A 회사가 1년에 10억원의 순이익을 벌어들인다면, A 회사의 ROE는 10%이다. 자본의 총액이 100억원인 B 회사가 1년에 50억원의 순이익을 벌어들인다면, B 회사의 ROE는 50%이다. 당연히 B 회사의 ROE가 A 회사의 ROE보다 높고, 이는 B 회사의 수익성이 A 회사에 비해 좋다는 것을 의미한다. * 당기순이익이란 기업이 번 돈에서 쓴 돈을 제외한 모든 이익으로, 영업이익과는 다르게 본업 이외의 활동(부동산.. 2023. 2. 5. [유튜브] 영상 링크 삽입/최종 화면 및 카드 만들기 유튜브를 보다 보면 가끔씩 오른쪽 위에 다른 영상 링크가 나온다거나(카드), 영상이 끝나기 몇 초 전에 관련 추천 영상(최종 화면)이 뜨는 걸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유튜브 앱이나 유튜브 스튜디오 앱으로는 아직 할 수 없고, 유튜브 스튜디오 웹(https://studio.youtube.com)으로만 설정이 가능하다. 아래 가이드를 따라 하면, 쉽고 빠르게 영상 내 카드 및 최종 화면 설정이 가능할 것이다. 먼저 유튜브 스튜디오(https://studio.youtube.com)에 접속한 다음, 왼쪽 메뉴 중 "콘텐츠" 메뉴를 누르면 위의 스크린샷과 같이 내가 업로드한 동영상들이 모두 보이는데, 각각의 영상에 마우스를 올려보면 위 스크린샷의 영상 목록 중 첫 번째 예시처럼 "세부정보" 라는 아이콘을 발견할 .. 2022. 2. 15. 구글 애드센스: “주소가 확인되지 않아 지급이 보류 중입니다” 문제 해결방법 구글 애드센스 셋업을 마치고 블로그를 운영하던 어느 날, 수익이 얼마나 쌓였나 하고 들어가 본 구글 애드센스에는 경고 메시지가 떠있었다. 아래 이미지처럼 "주소가 확인되지 않아 지급이 보류 중입니다"라는 경고 메시지였다. 이 문제는 애드센스에 주소는 잘 입력했지만 해당 주소가 아직 인증되기 전이기에, 구글에서 내가 입력한 주소로 6자리 PIN 번호가 적힌 엽서를 보내주면 그 엽서에 적힌 PIN 번호를 애드센스에 입력해서 나의 실제 주소임을 인증하면 해결되는 간단한 문제다. PIN 번호가 적힌 우편을 받기 위해서는 그냥 애드센스에 우편을 받을 주소만 입력해두면 구글이 알아서 우편을 보내준다. 구글에서 발송한 우편은 받기까지 2주 정도가 소요된다. 나도 약 2주가 조금 안돼서 우편을 받을 수 있었다. 안을 .. 2021. 10. 28. 네이버 애드포스트, 두 달 만에 승인 완료 중학생 때 네이버 블로그를 한참 열심히 하다 성인이 되고 난 이후로는 가끔 공부한 거 정리하는 용도로만 쓰던, 사실상 반 죽음 상태였던 네이버 블로그를 지난 9월 1일부터 다시 시작했다. 그리고 10월 20일, 네이버 애드포스트 신청이 승인되었다. 사실 중학생 때 나름 자동차 관련 포스팅을 열심히 했었고 나름 토탈 방문자 수도 26만 명이나 찍었어서, 지난 9월 1일의 나는 '누적 방문자 수 이 정도면 한동안 블로그 안 했어도 광고 달 수 있겠지' 하는 마음으로 애드포스트를 신청했었다. 결과는 바로 보류. 정확한 심사 기준은 잘 모르지만, 여기저기 찾아보니 아래와 같은 조건들이 충족되어야 애드포스트 심사가 통과된다고 하더라. 블로그 작성 글 수 50개 이상 블로그 운영기간 90일 이상 일 평균 방문자 수.. 2021. 10. 22. ETF 뒤에 붙는 TR의 의미 & 장점(TR ETF) TR ETF란? 주식에 배당금이 있다면, ETF(상장지수펀드)에는 분배금이 있다. 사실 이름만 다를 뿐, 같은 개념이라고 봐도 상관은 없다. ETF 분배금의 경우 주식 배당금과 동일하게 분배금 지급 시15.4%의 배당소득세를 원천징수하게 되는데, 이렇게 배당소득세를 떼면서 현금으로 분배금을 받는 것이 아닌 분배금을 동일 종목에 재투자하는 ETF를 TR(Total Return) ETF 라고 한다. TR ETF의 장점 투자의 편리성 일반적으로 ETF는 편입된 종목에 따라 1년에 최대 4회까지 분기별로 분배금을 지급한다. 하지만 TR ETF의 경우 분배금을 지급하는 것이 아닌 재투자를 진행하므로, 분배금을 월급처럼 받아쓸 생각이 없다거나 꾸준히 직접 재투자를 하는 상황이라면 분배금을 받아 직접 재투자를 하지 .. 2021. 10. 4. robots.txt 파일로 검색엔진 크롤링 범위 지정하기 SEO의 핵심은 바로 콘텐츠다. 하지만 단가가 높은 키워드일수록 콘텐츠만으로는 승부를 보기 어려워지고, 결국 기술적인 부분의 도움을 받을 수밖에 없게 된다. 여기서 기술적인 부분이란 웹사이트 속도의 최적화(퍼포먼스), 보안(SSL), 모바일 친화성, 웹페이지의 접근성(a11y)등 다양한 요소가 고려된다. 실제로 Google Lighthouse 검사를 해보면 위와 같은 부분들이 종합 점수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더불어 기술적으로 내 웹사이트 검색 결과에서 [보여주어야 할 것]과 [보여주지 말아야 할 것]을 구분해서 검색 결과에 적절히 노출시켜주는 것 또한 SEO에 있어서 굉장히 중요한 부분이다. 검색 결과 중 [보여주어야 할 것]의 예시로는 검색엔진에 노출되어야 하는 내 웹사이트의 콘.. 2021. 9. 30. [개인 블로거] 구글 애드센스 미국세금정보 등록 간단요약 티스토리나 블로그 등에 구글 애드센스를 통한 광고 수익이 있다면, 전체 수익에 대한 24%를 원천징수한 후 나머지 금액을 정산받게 된다. 전체 광고 수익에 대한 24%의 세금은 무시할 수 없을 만큼 크지만, 미국 세금 정보를 등록하게 되면 전체 수익에 대한 24%의 세금이 아닌 미국에서 발생한 수익에 대해서만 30%의 세금을 원천징수한다. 예를 들어 블로그의 애드센스에서 총 110달러의 수익이 발생했고 이 중 100달러는 한국에서, 나머지 10달러는 미국에서 발생했다고 가정한다면 미국 세금 정보가 등록되어있지 않았을 경우 전체 수익 110달러에서 24%의 세금을 원천징수 하지만, 미국 세금 정보를 등록한다면 미국에서 발생한 10달러에 대해서만 30%의 세금을 원천징수하게 되는 것이다. 현재 운영 중인 블.. 2021. 9. 23. Meta tag - robots 태그를 통한 검색 노출 관리 및 저품질 블로그 해결 * 들어가며: 이 글은 블로그 운영 및 HTML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이 있는 분들을 대상으로 작성했습니다. 나는 현재 Medium, 티스토리, 개인 웹사이트, 깃허브 블로그(Jekyll) 및 네이버 블로그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글을 업로드 하고 있다. Medium의 경우에는 공부 정리를 위해, 개인 홈페이지는 디자인 포트폴리오 업로드를 위해, Jekyll 사이트는 스크랩/일상 공유 등 목적은 다양하지만 반응이 좋거나 좋을 것으로 예상되는 글의 경우에는 개인 홈페이지를 제외한 다른 매체에도 동일하게 업로드를 하고 있다. 바로 이 부분에서 문제가 하나 발생하는데, 블로그를 부업으로 하시는 분들이라면 한 번 정도는 들어보셨을 '저품질'이라는 문제다. 저품질이란? 기본적으로 각 검색엔진들에는 웹페이지를 크롤.. 2021. 9. 18. [간단정리] 주식 배당금과 ETF 분배금의 차이 ETF 분배금이란? 기본적인 개념 ETF(상장지수펀드)는 기본적으로 여러 개별 주식들이나 혹은 개별 투자 종목(원자재, 채권, 부동산 등)들을 결합한 상품을 일컫는다. 여러 자산 운용사(삼성자산운용, KB자산운용 등)들이 해당 ETF를 운용하면서 발생한 현금 수익(개별 주식들에서 발생한 배당금, 채권에서 발생한 이자수익, 부동산에서 발생한 임대료 등)을 각 ETF 투자자들에게 분배하는 것을 두고 ETF 분배금이라고 한다. 보통 인버스/레버리지와 같은 파생상품 ETF를 제외한 ETF 상품의 경우 최소 연 1회의 분배가 있으며, KODEX200 이나 TIGER200과 같은 상품은 분기 분배(연 4회 분배)를 진행하기도 한다. 주의해야 할 점 KODEX200과 TIGER200과 같이 동일하게 KOSPI200을.. 2021. 9. 7. 부동산/주택담보대출 용어: LTV, DTI, DSR 간략 정리 요새 친한 친구들과 함께 부동산을 조금씩 공부하기 시작했다. 필자는 부동산의 "ㅂ"자도 모르는 초보이기에, 아래와 같은 간단한 용어도 이해하는데 한참이 걸렸다. 나처럼 막 부동산 공부를 시작하려는 분들, 혹은 P2P 분산투자나 부동산 경매를 꿈꾸는 부린이 여러분들이 첫 발걸음을 떼는데 작지만 유용한 정보가 되었으면 하는 마음으로 최대한 쉽게 LTV, DTI, DSR에 대한 개념을 풀어보려 한다. LTV 주택 담보 인정 비율 1. Loan To Value의 약자 2. 주택 가치를 기준으로 대출 비율을 정함 a. 우리 집을 담보로 얼마까지 대출을 받을 수 있는지 3. 은행이 주택을 담보로 대출을 해줄 때 적용하는 담보 가치 대비 최대 대출가능 한도 a. LTV가 높으면 대출 가능 금액도 높아지고 b. LTV.. 2021. 9. 6.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